물생활 팁 [새우] 비쉬림프 팁
페이지 정보
쇼즁
작성일 2025.02.19

본문



안녕하세요, 비쉬림프 브리더로 활동하고 있는 쇼즁입니다.
오늘은 물생활 팁에 관한 글을 적으려고 합니다.
요즘 많은 분들이 찾아준다는 비쉬림프! 정보가 많이 없어 많이 죽여먹는 걸로 유명한 친구 입니다. 오늘 제가 한 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사진에 나와있는 레드팬시타이거 는 제가 직접 선별하고 있는 친구 입니다)
1.비쉬림프의 종류?? 이름?? 정체는 무엇인가!
카리디나(Caridina)와 네오카리디나(Neocaridina)
국내에서 관상용으로 유통되는 대부분의 담수 새수들은 카리디나와 네오카리디나 속에 속하는 새우들이며, 단어가 생소하고 어렵기 때문에 카리디나는 '비쉬림프류'로 네오카리디나는 '생이새우류'로 불리어 집니다.
'비쉬림프'의 경우 카리디나에 속하는 하나의 종이라는 점에서 대명사로 사용되기에는 문제가 있지만 워낙 오랫동안 이 단어가 카리디나 속의 관상용 새우를 지칭하는 용도로 사용돼 오기도 했고, 가장 대중적으로 유통되는 카리디나 속의 새우가 비쉬림프(bee shrimp)의 일종인 CRS(크리스탈 레드 쉬림프),
CBS(크리스탈 블랙 쉬림프)이기에 '카리디나 = 비쉬림프'
라는 잘못된 인식이 자리 잡고 있는 듯합니다.
카리디나(Caridina)의 구분
-로게마니(logemanni):비쉬림프
-칸토넨시스(cantonensis): 아우라블루, 텐져린.
-마리애(mariae):타이거. 가 있습니다
이제 우리가 아는 대표적인 비쉬림프 종류는
CRS,CBS,레팬타,블팬타,터키옥,갤피,보아,킹콩,쉐도우,등등이 있지만 요즘 새로운 CGS,블사,퍼플,오렌지,이클립스 등등이 있으면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종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2.비쉬림프와 생이는 교배가 가능한가?!
비쉬림프와 생이는 교배가 불가능 한 종류 이며 비쉬림프 끼리 이중교배는 가능하지만 생이랑 비쉬림프는 불가능 하다고 알아주시면 됩니다.
3.비쉬림프 어항 세팅? 필요한 정보?
비쉿님프 키우기 세팅 값
-온도:20~24, -PH: 6.0~6.5 -GH:4~6 -KH: 2~4 이 수치는 대만 브리더의 수치 이며 우리나라 사람은 PH-5.5~6.0 , TDS-90~110 정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비쉬림프는 약산성에 살아서 PH를 약산성 으로 유지 해주시는걸 좋습니다.
3-1. 세팅 할때 필요한 물품?
1. 산성 바닥재 사용 (예: 소일 같은 산성 바닥재)
2. 스펀지 여과기 : 새우는 스펀지 여과기를 해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3.RO수: RO수를 쓰는 이유는 염소 제거와 냄새도 있지만 새우의 환경을 위해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용어 정리를 하자면)
---이름--- ----불리는 용어----
1.침전필터 -> 침전,세디멘트,PP 필터
2.프리카본필터-> 선카본,청카본
3.포스트카본필터-> 후카본,백카본
4.중공사막필터-> U/F 멤브레인필터
5.역삼투압필터-> R/O 멤브레인필터
6.레진필터-> 양이온,음이온수지 섞은 복합필터
보통 침전->카본->RO를 사용합니다
(용도)
1/2 침전은 큰 먼지,녹,모래,흙 등을 걸러줍니다
1/3 카본은 염소나 냄새, 기타 좋지 않은 물질을 제거 합니다
1/4 중공사막은 물속에 남아 있는 나쁜물질을 걸러내고, 미네랄 및 좋은 성분은 통과시키는 방식 입니다.
1/5 역삼투압은 아주미세한 기공으로 물속에 있는 모든 물질을 제거합니다. 수압을 이용하여 한쪽은 폐수, 한쪽은 정수 가 나옵니다.
1/6 레진은(양이온) 칼슘,칼륨,마그네슘등의 입자를 흡착하며 음이온은 가스층,질산염,인산염,규산염 등을 흡착합니다.
4.비쉬림프어항은 어떻게 세팅하나요?
비쉬림프를 세팅은 먼저 소일을 1~2cm 깔고 위에 박테리아를 뿌려 줍니다 그리고 RO수를 넣고 온도를 28도로 맞춰 박테리아들이 잘 서식할수 있도록 해줍니다 스펀지 여과기를 돌리고 조명은 평상시 대로 켜 주시면 됩니다.
-슬러지, 미즈, 등등 미생물 과 같은 것들이 생겨도 새우에게 해가 되진 않습니다 (플라나리아,히드라는 외부에서 딸려오는 것입니다) 물잡이 기간이 끝나면 온도를 24로 맞추고 새우를 데려와 온도 맞댐과 물 맞댐을 해주시면 됩니다.
비쉬림프를 키울땐 수온이 28도를 안넘게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특히 여름철에 많이 죽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5. 아마조니아 1 소일은 왜이리 비싸나요?
아마조니아 소일은 일본 ADA 회사에서 만든 제품인데 2023년부터 갑자기 가격이 오르더니 2025년 기준 금장: 9~10,
수초그림:12~15, 구구구아마: 20~25에 팔리고 있는 아주 비싼 녀석들 입니다. 찾는 사람은 많고 재고가 없으니 가격은 어쩔수 없이 비싸지는 친구들 입니다. 요즘은 브리더들이 많이 실험을 하며 대체품을 찾고 있습니다.
6. 비쉬림프는 왜 비싸나요?
비쉬림프는 예쁜 이유도 있지만 사육 난이도와 입문자들이 초반 세팅 비용 때문에 접근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미네랄 ,RO수,소일 만 구해도 30~40 이 넘어가니 당연히 입문자들은 발을 쉽게 넘어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수입 과정에서 정밀 검사가 아주 엄격 하고 비용과 세금 등등을 생각하면 비싼게 당연할지도 모른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7. 비쉬림프 전용 약, 영양제, 등은 써도 되나요?
저는 많은 브리더 들이 검증한 영양제, 미네랄, 등등 이미 검증된 제품들은 써볼만 하다고 보지만 위험을 감수하고 모르는 제품은 손을 대는건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
이제 제가 아는 물생활 팁은 간단하게 요기까지 입니다.
추가로 말할 점은 제가 모든 사람한테 나만의 세팅법을 다 알려줘도 그걸 다 듣고 따라해도 꼭 새우가 잘 되거나 폭번을 하진 않더라고요.
제가 말하고 싶은 건 어느 정도의 상식을 알고 가는게 좋지만 물생활 에서는 자기가 직접 해서 그게 성공하면 그게 바로 자신의 찐 노하우가 아닌지! 생각해 봅니다.
요기 까지 저의 물생활 팁 이었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은 물생활 팁에 관한 글을 적으려고 합니다.
요즘 많은 분들이 찾아준다는 비쉬림프! 정보가 많이 없어 많이 죽여먹는 걸로 유명한 친구 입니다. 오늘 제가 한 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사진에 나와있는 레드팬시타이거 는 제가 직접 선별하고 있는 친구 입니다)
1.비쉬림프의 종류?? 이름?? 정체는 무엇인가!
카리디나(Caridina)와 네오카리디나(Neocaridina)
국내에서 관상용으로 유통되는 대부분의 담수 새수들은 카리디나와 네오카리디나 속에 속하는 새우들이며, 단어가 생소하고 어렵기 때문에 카리디나는 '비쉬림프류'로 네오카리디나는 '생이새우류'로 불리어 집니다.
'비쉬림프'의 경우 카리디나에 속하는 하나의 종이라는 점에서 대명사로 사용되기에는 문제가 있지만 워낙 오랫동안 이 단어가 카리디나 속의 관상용 새우를 지칭하는 용도로 사용돼 오기도 했고, 가장 대중적으로 유통되는 카리디나 속의 새우가 비쉬림프(bee shrimp)의 일종인 CRS(크리스탈 레드 쉬림프),
CBS(크리스탈 블랙 쉬림프)이기에 '카리디나 = 비쉬림프'
라는 잘못된 인식이 자리 잡고 있는 듯합니다.
카리디나(Caridina)의 구분
-로게마니(logemanni):비쉬림프
-칸토넨시스(cantonensis): 아우라블루, 텐져린.
-마리애(mariae):타이거. 가 있습니다
이제 우리가 아는 대표적인 비쉬림프 종류는
CRS,CBS,레팬타,블팬타,터키옥,갤피,보아,킹콩,쉐도우,등등이 있지만 요즘 새로운 CGS,블사,퍼플,오렌지,이클립스 등등이 있으면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종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2.비쉬림프와 생이는 교배가 가능한가?!
비쉬림프와 생이는 교배가 불가능 한 종류 이며 비쉬림프 끼리 이중교배는 가능하지만 생이랑 비쉬림프는 불가능 하다고 알아주시면 됩니다.
3.비쉬림프 어항 세팅? 필요한 정보?
비쉿님프 키우기 세팅 값
-온도:20~24, -PH: 6.0~6.5 -GH:4~6 -KH: 2~4 이 수치는 대만 브리더의 수치 이며 우리나라 사람은 PH-5.5~6.0 , TDS-90~110 정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비쉬림프는 약산성에 살아서 PH를 약산성 으로 유지 해주시는걸 좋습니다.
3-1. 세팅 할때 필요한 물품?
1. 산성 바닥재 사용 (예: 소일 같은 산성 바닥재)
2. 스펀지 여과기 : 새우는 스펀지 여과기를 해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3.RO수: RO수를 쓰는 이유는 염소 제거와 냄새도 있지만 새우의 환경을 위해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용어 정리를 하자면)
---이름--- ----불리는 용어----
1.침전필터 -> 침전,세디멘트,PP 필터
2.프리카본필터-> 선카본,청카본
3.포스트카본필터-> 후카본,백카본
4.중공사막필터-> U/F 멤브레인필터
5.역삼투압필터-> R/O 멤브레인필터
6.레진필터-> 양이온,음이온수지 섞은 복합필터
보통 침전->카본->RO를 사용합니다
(용도)
1/2 침전은 큰 먼지,녹,모래,흙 등을 걸러줍니다
1/3 카본은 염소나 냄새, 기타 좋지 않은 물질을 제거 합니다
1/4 중공사막은 물속에 남아 있는 나쁜물질을 걸러내고, 미네랄 및 좋은 성분은 통과시키는 방식 입니다.
1/5 역삼투압은 아주미세한 기공으로 물속에 있는 모든 물질을 제거합니다. 수압을 이용하여 한쪽은 폐수, 한쪽은 정수 가 나옵니다.
1/6 레진은(양이온) 칼슘,칼륨,마그네슘등의 입자를 흡착하며 음이온은 가스층,질산염,인산염,규산염 등을 흡착합니다.
4.비쉬림프어항은 어떻게 세팅하나요?
비쉬림프를 세팅은 먼저 소일을 1~2cm 깔고 위에 박테리아를 뿌려 줍니다 그리고 RO수를 넣고 온도를 28도로 맞춰 박테리아들이 잘 서식할수 있도록 해줍니다 스펀지 여과기를 돌리고 조명은 평상시 대로 켜 주시면 됩니다.
-슬러지, 미즈, 등등 미생물 과 같은 것들이 생겨도 새우에게 해가 되진 않습니다 (플라나리아,히드라는 외부에서 딸려오는 것입니다) 물잡이 기간이 끝나면 온도를 24로 맞추고 새우를 데려와 온도 맞댐과 물 맞댐을 해주시면 됩니다.
비쉬림프를 키울땐 수온이 28도를 안넘게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특히 여름철에 많이 죽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5. 아마조니아 1 소일은 왜이리 비싸나요?
아마조니아 소일은 일본 ADA 회사에서 만든 제품인데 2023년부터 갑자기 가격이 오르더니 2025년 기준 금장: 9~10,
수초그림:12~15, 구구구아마: 20~25에 팔리고 있는 아주 비싼 녀석들 입니다. 찾는 사람은 많고 재고가 없으니 가격은 어쩔수 없이 비싸지는 친구들 입니다. 요즘은 브리더들이 많이 실험을 하며 대체품을 찾고 있습니다.
6. 비쉬림프는 왜 비싸나요?
비쉬림프는 예쁜 이유도 있지만 사육 난이도와 입문자들이 초반 세팅 비용 때문에 접근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미네랄 ,RO수,소일 만 구해도 30~40 이 넘어가니 당연히 입문자들은 발을 쉽게 넘어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수입 과정에서 정밀 검사가 아주 엄격 하고 비용과 세금 등등을 생각하면 비싼게 당연할지도 모른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7. 비쉬림프 전용 약, 영양제, 등은 써도 되나요?
저는 많은 브리더 들이 검증한 영양제, 미네랄, 등등 이미 검증된 제품들은 써볼만 하다고 보지만 위험을 감수하고 모르는 제품은 손을 대는건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
이제 제가 아는 물생활 팁은 간단하게 요기까지 입니다.
추가로 말할 점은 제가 모든 사람한테 나만의 세팅법을 다 알려줘도 그걸 다 듣고 따라해도 꼭 새우가 잘 되거나 폭번을 하진 않더라고요.
제가 말하고 싶은 건 어느 정도의 상식을 알고 가는게 좋지만 물생활 에서는 자기가 직접 해서 그게 성공하면 그게 바로 자신의 찐 노하우가 아닌지! 생각해 봅니다.
요기 까지 저의 물생활 팁 이었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